□ 국가필수의약품 현황 및 공급망 안정 방안
    (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 필수의약품지원본부 안명수 본부장 著)
 ㅇ 코로나-19 이후 감기약, 해열제, 변비약 등 사용량이 많은 약제의 수급 불안정 문제 발생 및 반복
   - 다빈도 의약품 뿐만 아니라 국가필수의약품의 공급중단에 대비한 적극 대응이 필요
 ㅇ 국가필수의약품의 정의 및 현황
   - 한국, 미국, 유럽 비교
 ㅇ 국가필수의약품 수급 모니터링
   -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공급중단 대상 의약품 수급 상황을 매년 모니터링
   - 2023년 수급모니터링 결과, 국가필수의약품 107건 81품목 공급중단 
 ㅇ 국가필수의약품 목록 재평가
   - 2023년 11월 29일 신규 목록 공고로 현재 국가필수의약품은 408개 성분, 448종(성분, 제형) 지정
 ㅇ 국가필수의약품 공급망 안정 방안
   - 선정 기준 개선
   - 생산 장려 방안
   - 수급불안정에 대한 근본적 대응체계 마련 필요 


□ 글로벌 주요 동향
 ㅇ EMA, 임상시험 및 RWE 사용 확대를 위한 인프라 필요성 제기
 ㅇ 프랑스, 슈도에페드린 사용에 대한 강경 입장
 ㅇ FDA, 메타분석을 통한 바이오시밀러 안전성 강조
 ㅇ 인도, 감기약 오염 방지 권고 사항 발표
 ㅇ 유럽, 의료 및 의약품 분야 AI 규제 시스템 구축 계획
 ㅇ EU, 첫 번째 필수의약품 목록 발표
 ㅇ FDA·EMA, 첫 유전자 편집 치료제 승인
 ㅇ FDA, '23년 총 72품목 신약 승인